반응형 정보/부동산25 2022 상생임대인 혜택 자주 물어보는 질의응답 Q&A 정리 2022년 6월 정부가 임대료를 자발적으로 5% 이내로 인상하는 임대인에게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및 장기보유특별공제에 필요한 2년 거주 요건을 면제해 주기로 발표하였는데 부동산 커뮤니티 및 단체채팅방에서도 상생임대인 관련 문의가 많이 이어지고 있어서 자주 질문하는 부분에 대해서 정리하였는데 참조바랍니다. 상생임대인 이 발표가 있기 전까지는는 서울 등 조정대상지역에 있는 주택을 2017년 8월 3일 이후 취득했을 경우 2년을 거주한 뒤 매도해야 양도세 비과세를 받을 수 있는데, 전세보증금과 월세 등 임대료를 자발적으로 종전 임대료의 5% 이내로 올리는 '상생임대인'의 경우 2년을 거주하지 않아도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주겠다는 계획입니다. 상생임대인 인세티브 제도 2022년 6월 21일 발표 상생.. 2022. 6. 23. 상생임대인 인세티브 제도 2022년 6월 21일 발표 상생임대인이란 직전 계약 대비 임대료를 5%를 이내로 인상한 임대인을 상대임대인이라 칭합니다. 상대임대인 인정 요건인 임대개시 시점 1세대 1주택자이면서 기준시가 9억원 이하 주택을 보유한 사람이라는 내용은 폐지하기로 하였습니다. 상생임대인의 개념 신규/갱신계약 시 임대료를 직전 계약 대비 5% 이내 인상(유지/인하 포함)한 임대인을 뜻합니다. 또한 직전 계약은 기존 임대차예약 존재 및 기존 계약을 1년 6개월 이상 유지 한정이며 주택 매수 후 신규로 체결한 임대차계약 및 주택 매수시 승계받은 임대차계약은 제외이니 참조바랍니다. 상생임대인의 주요사례 알아보기 상생임대인 지원제도 개선안 상생임대인에 대한 혜택도 확대하였는데 현재는 2년 이상 임대한 주택에 대해 조정대상지역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 2022. 6. 21. 분양가 상한제 실거주 의무요건 완화 (상생임대인, 임차인, 월세, 전세, 주택담보대출 한도)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임대료를 자발적으로 5% 이내로 인상하는 임대인, 즉 상생임대인에 1세대 1주택양도소득세 비과세 및 장기보유특별공제에 필요한 2년 거주요건을 완전 면제해 계약갱신을 유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임대차시장 안정 방안 임대인들이 자발적으로 임대료 인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생임대인'에 대한 혜택을 늘리며 상생임대인은 직전 계약 대비 임대료를 5% 이내로 인상한 신규·갱신 계약 체결 임대인입니다. 지금은 상생임대인이 임대 개시 시점에 기준시가 9억 원 이하, 2년 이상 임대한 주택에 대해 조정대상지역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2년 거주 요건 중 1년을 인정하고 있는데, 오는 2024년 말까지는 2년 거주 요건을 아예 면제해주기로 했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 2022. 6. 21. 건설사 별 브랜드 및 아파트 이름 알아보자 아파트는 어디 건설사에서 누가 짓느냐에 따라 시장에서 가치가 다르게 평가가 되기에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대형건설사의 브랜드 아파트는 시장에서 흥행 보증표가 되고 있으니 브랜드별 아파트는 기존 주택시장에서 랜드마크가 되거나 시세를 이끄는 대장 아파트로 승격하는경우가 많으니 한번 건설사 별 브랜드 아파트 이름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설사 브랜드 아파트 이름 건설가 브랜드와 아파트 이름은 큰 의미가 있기에 어느 지역에 어떤 브랜드 아파트를 시공하느냐에 따라 내부설계/조경/커뮤니티/등등 공을 들여 설계를 하여 더욱 인지도가 높은게 아닐까 싶습니다. 삼성물산(주) - 레미안 현대건설(주) - 힐스테이드 / 디에이치 지에스건설(주) - 자이 / 자이르네 포스코 건설(주) - 더 샵 대우건설 (주) - 푸르지오 .. 2022. 6. 18.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